본문 바로가기

건식운전5

펌프가 흔들린다면? 베어링과 공기를 먼저 확인하세요 펌프를 가동했는데, 갑자기 익숙하지 않은 소음이 들리기 시작한다면? 모터 문제라고 단정짓지 마세요. 진짜 원인은 베어링 손상과 진동 증가일 수 있으며, 그 시작은 펌프에 혼입된 공기일 수 있습니다.사례 1: 반도체 공장 냉각 펌프 베어링 고장싱가포르의 한 반도체 제조업체는 청정실 냉각용 펌프에서 이상 진동 알람이 반복적으로 발생했습니다. 외관상 펌프와 모터는 정상이었지만, 2주 후 구동측 베어링이 파손되며 전체 라인이 멈추었습니다.원인은 플랜지 미세 누기 부위로 공기가 흡입되며 발생한 불균형 회전이었습니다. 진동은 베어링에 지속적으로 피로를 주었고, 결국 전체 파손으로 이어졌습니다.공기가 진동과 베어링 마모를 유발하는 원리 흡입 불균형 → 임펠러 회전력 불균형 발생 편심 하중이 베어링에 전달되어 비정.. 2025. 8. 16.
펌프는 공회전인데 전류는 왜 올라갈까? 펌프에 유체가 없을 때, 공회전 상태에서 전동기가 과전류를 소비하는 이유는 생각보다 복잡하지만 현실적인 문제입니다. 겉보기엔 부하가 없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시스템 내부에서 속도가 높아지고 마찰 손실이 증가하면서 전류가 더 많이 흐르게 됩니다.사례 1: 45kW 모터가 공회전 후 정지한 사고한국의 한 냉각설비 공장에서 펌프 정비 후 재가동했는데, 흡입 밸브가 닫힌 상태였습니다. 유체 없이 공회전한 펌프는 15초 만에 열 보호 차단이 작동되며 멈췄습니다.조사 결과, 부하는 없었지만 회전수가 상승하며 마찰 손실과 진동이 급증했고, 정격의 125% 전류가 유입되어 모터가 스스로 보호 작동한 것이었습니다.공회전 시 과전류가 흐르는 이유 유압 부하 없음 → 회전속도 상승 속도 상승 → 내부 손실 토크 증가 .. 2025. 8. 16.
기계적 마모 가속화, 펌프 내 공기부터 의심하세요 모든 회전체 장비에는 일정 수준의 기계적 마모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펌프 내부에 공기가 혼입되면, 이 마모는 빠르고 조용하게 가속됩니다.사례 1: 정수장의 임펠러 마모캐나다의 한 정수장에서는 유량이 점차 감소하는 현상이 발견되었습니다. 분해 점검 결과, 임펠러 날개가 심하게 얇아지고 함몰되어 있었습니다.원인은 점검구 밀폐 불량으로 흡입된 공기였습니다. 이 공기방울이 지속적으로 임펠러에 충돌하며, 마치 미세한 샌드블라스트처럼 금속을 침식시킨 것입니다.공기가 기계적 마모를 유발하는 원리 기포 붕괴(마이크로 캐비테이션) → 임펠러, 케이싱에 피팅 발생 불균일 유량 → 진동 증가 → 축, 씰 마모 건식 구간 발생 → 윤활막 손실 → 금속 간 마찰 산소 유입 증가 → 내부 표면 산화 촉진 외부 공기 유입.. 2025. 8. 16.
전동기가 뜨거워지는 진짜 이유, 공기 혼입 때문입니다 전동기 하우징이 뜨겁고, 보호 차단이 자꾸 발생하며, 전류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경우, 대부분은 모터 문제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그 원인이 펌프 내부 공기 혼입인 경우가 많습니다.사례 1: 제철소 75kW 전동기의 조기 고장한국의 한 제철소에서는 75kW 유도전동기가 운전 10분 만에 과열되어 멈추는 현상이 반복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절연 불량이나 부하 불균형을 의심했지만, 실제 원인은 펌프 내부 공기 혼입이었습니다.공기 때문에 물이 흐르지 않아 무부하 상태에서 공회전했고, 회전부의 마찰이 증가하며 전동기 과부하가 지속되었습니다. 결국 이 전동기는 3개월 만에 교체되었습니다.공기가 전동기 과열을 유발하는 원리 유체 저항이 사라지면서 전동기 회전수가 올라가고, 전류 과다 소비 펌프가 설계 조.. 2025. 8. 16.
반복 기동되는 펌프, 고장이 아닌 ‘공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펌프를 작동시키려 했지만 반응이 없거나, 잠깐 돌았다가 멈춰버린다면? 모터, 전원, 배선 다 확인했는데도 문제없다면, 의외의 원인이 숨어 있을 수 있습니다. 바로 펌프 내부에 갇힌 공기입니다.사례 1: 매일 아침 기동에 실패한 포장공장오하이오의 한 소규모 포장공장은 매일 아침 펌프가 5~6번 시도 후에야 겨우 작동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조사 결과, 밤사이 흡입 라인에 공기가 차면서 프라이밍이 실패하고, 펌프가 공회전 상태로 보호 차단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었습니다.해결 방법은 자동 공기 배출 밸브 설치와 작업자들이 시작 전 수동 에어 제거를 추가하는 루틴을 도입한 것이었습니다.공기가 펌프 기동을 막는 원인 프라이밍 실패로 인해 물이 흘러가지 않음 흡입 라인에 베이퍼 락 발생 건식 운전으로 씰 손상.. 2025. 8.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