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도전동기, 전압이 낮으면 속도가 줄어드는 진짜 이유

by 시설안전 2025. 8. 16.

많은 분들이 전압이 높으면 모터 속도도 빨라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유도전동기에서는 전압이 속도를 직접 결정하지는 않습니다. 그 대신, 전압은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힘, 즉 토크에 영향을 줍니다.

사례: 전압 강하로 느려진 HVAC 팬

시카고의 한 상업 건물에서 HVAC 팬의 풍량이 평소보다 줄어들었습니다. 원인을 조사해보니, 전압이 정격의 85% 수준까지 떨어진 상태였습니다. 주파수는 그대로 60Hz였지만, 팬은 부하를 이기지 못하고 속도가 떨어지고 있었던 것입니다.

유도전동기의 속도를 결정하는 요소는?

동기속도 Ns는 아래 공식으로 정해집니다:

Ns = (120 × f) / P
  • f: 주파수 (Hz)
  • P: 극 수

즉, 주파수가 속도를 결정합니다. 전압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전압이 영향을 주는 것은 ‘토크’

전압이 낮아지면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납니다:

  • 자속 약화 → 토크 저하
  • 토크 부족 → 부하를 감당 못함
  • 슬립 증가 → 속도 하락

결국, 전압이 낮으면 모터는 속도를 유지할 힘이 부족해져서 부하에 밀리게 되는 겁니다.

사례: 펌프 유량 감소 문제

인도의 한 정수장에서는 유량이 점점 줄어들었고, 조사 결과 모터 전압이 15% 낮게 공급되고 있었습니다. 시스템 압력이 올라가자 모터가 부하를 견디지 못해 속도가 떨어졌고, 유량 저하로 이어졌습니다.

전압 문제로 속도가 떨어질 때 나타나는 증상

  • 풍량/유량/회전수 감소
  • 경부하에도 모터 과열
  • 부하 걸릴 때 전류 과다 유입
  • 기동 시 반응이 느림
  • 진동 또는 기동음이 커짐

예방 전략: 실무에서의 관리 방법

  • 전압 감시 시스템(PQ 모니터링) 설치
  • 케이블, 단자, 변압기 점검 주기적 수행
  • 설계 시 전압 여유분 확보(10% 이상)
  • 인버터(VFD) 사용 시 전압/주파수 비례 제어
  • 장거리 배선 시 전압 보상 장치 적용
  • 3상 부하 밸런스 조정

보너스: 인버터(VFD) 사용 시 속도 제어는?

VFD는 전압과 주파수를 동시에 조절합니다. 이 경우 전압과 속도는 함께 변하므로 속도 제어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전압만 떨어지고 주파수는 일정하다면, 속도는 부하에 따라 떨어질 수 있습니다.

결론: 전압은 속도를 직접 바꾸진 않지만,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힘(토크)을 만들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전압이 낮으면 속도는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