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도전동기 유량이 줄고 압력이 흔들린다면? 공기 혼입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by 시설안전 2025. 8. 16.

펌프가 잘 돌아가고 있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유량이 떨어지고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낮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조용한 성능 저하는 대부분 펌프 시스템 내부에 갇힌 공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사례 1: 음료 공장의 생산 지연

한 음료 제조업체는 성수기를 앞두고 포장 라인의 펌프가 기대만큼 유량을 내지 못하는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조사 결과, 흡입라인의 플렉서블 조인트에서 소량의 공기 유입이 있었고, 이로 인해 유량이 15% 감소하며 병입 공정이 중단되고 생산 인력이 초과 근무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사례 2: 병원 난방 시스템의 유량 불균형

중서부의 한 병원에서는 겨울철에 일부 병실이 지나치게 차가워지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난방 루프에 설치된 유도전동기 펌프가 상층부로 물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했던 것이 문제였습니다. 주말 동안 시스템이 멈춘 후 수직 배관 상단에 공기가 갇히는 구조가 원인이었습니다.

해결책으로는 자동 에어 벤트 설치와 정기적인 수동 공기 제거 작업을 병행하여 시스템 정상화를 이뤘습니다.

공기 혼입이 유량과 압력을 떨어뜨리는 이유

  • 공기는 물처럼 흐르지 않고 압축되므로, 전체 유효 체적이 줄어듭니다.
  • 기포로 인해 배관 내부에 흐름 단절이 생깁니다.
  • 흡입라인 내 공기 혼입은 NPSH 저하를 유발하여 펌프 효율을 떨어뜨립니다.
  • 임펠러 내부에서의 기포 형성은 출력 압력을 약화시킵니다.

사례 3: 농업용 관개 시스템 고장

한 대형 농장은 관개 시스템의 유량이 일정 수준 이상 오르지 않아 작물 피해를 입었습니다. 수평관 중간의 상승 구간에 공기가 포집되면서 유량이 절반 이하로 떨어졌고, 수확량이 큰 폭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이후 배관 경사 조정 및 자동 벤트 밸브 추가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공기 혼입으로 인한 유량 문제의 주요 증상

  • 압력 게이지 수치 불안정
  • 원거리 분사 또는 배출구 유량 저하
  • 거품 또는 공기방울 토출
  • 전동기 반복 작동 또는 짧은 시간 작동 후 정지
  • 다중 존 시스템에서 온도 불균형

무시했을 때의 장기적 피해

  • 공정 효율 저하 및 납기 지연
  • 베어링, 모터 등 주요 부품 과열
  • 센서 오작동 → 제어 오류 발생
  • 펌프 반복 정지로 인한 수명 단축
  • 예기치 못한 설비 정지 및 생산 손실

현장에서 효과 본 예방법

  • 매 시동 전 프라이밍 완벽 수행
  • 고지점 없는 배관 설계로 공기 포집 방지
  • 투명 흡입 배관으로 기포 육안 확인
  • 자동 에어 밸브 설치로 무인 제거 시스템 구축
  • 흡입라인 진공 보조 장치 적용
  • 압력 데이터 로깅으로 이상 탐지 자동화
  • 정기적인 수동 공기 제거, 특히 휴지기 이후
  • 운영자 교육을 통한 빠른 문제 인식 및 대응

공기는 보이지 않지만 그 피해는 확실히 드러납니다. 펌프 시스템의 성능을 지키기 위해, 공기 혼입에 대한 사전 대응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관련 키워드: 펌프유량감소, 압력저하, 유도전동기, 공기혼입, 산업펌프문제, 설비트러블, 펌프프라이밍, 자동에어밸브, 유량계이상, 펌프효율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