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3상 유도전동기 슬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by 시설안전 2025. 8. 13.

3상 유도전동기 슬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슬립은 회전자 속도와 동기속도(Nₛ)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이것은 결함이 아니라 토크 발생의 필수 요소입니다.
하지만 슬립이 과도하면 효율 저하, 발열, 심하면 정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 부하 토크

  • 부하가 무거울수록 토크 요구량이 커지고, 슬립이 증가합니다.
  • 가변토크 부하(팬, 펌프)는 변화 폭이 작지만, 정토크 부하(컨베이어, 크러셔)는 부하 증가 시 슬립 상승 폭이 큽니다.

💡 사례 – 컨베이어 라인
베어링 마모로 마찰 토크가 증가, 슬립이 **2.5% → 5%**로 상승, 모터 온도 15°C 상승.
베어링 교체 후 슬립 정상화.


2. 전원 전압

  • 전압과 토크 관계:T∝V2T \propto V^2
  • 전압이 낮아지면 토크가 줄고, 부하를 유지하려면 슬립이 커집니다.
  • 전압 10% 하락 시 토크 약 19% 감소 → 슬립 증가.

💡 사례 – 펌프 시스템
전압 불평형 2%로 토크 저하, 슬립이 **3.8% → 6.1%**로 상승.
위상 밸런스 조정 후 정상 복귀.


3. 주파수·극수

  • 동기속도 공식:Ns=120×fpN_s = \frac{120 \times f}{p}
  • 주파수(VFD) 조정으로 Nₛ 변화 → 슬립 조절 가능.
  • 극수가 많으면 Nₛ가 낮아지고, 같은 부하에서 슬립 비율이 달라집니다.

4. 회전자 저항

  • 회전자 저항(R₂)이 크면 같은 토크에서도 슬립이 증가.
  • 권선형 모터는 외부저항으로 기동 시 슬립 조절 가능.

5. 온도 영향

  • 권선 온도가 높아지면 저항이 증가, 토크 저하 → 슬립 증가.
  • 고부하 장시간 운전 시 특히 영향이 큼.

6. 기계적 상태

  • 정렬 불량, 벨트 장력 과다, 윤활 불량 등은 기계적 부하를 키워 슬립을 증가시킵니다.

예방·행동 지침 (슬립 제어)

설계

  1. 부하에 충분한 토크 여유가 있는 모터 선택.
  2. 전압 불평형 1% 이하, THD 5% 이하 유지.
  3. 슬립 민감 부하는 VFD 벡터제어 적용.

운전

  • 장시간 정격 토크의 85~90% 이하에서 운전.
  • SCADA·타코미터로 슬립 모니터링.

유지보수

  • 베어링·벨트·커플링 주기 점검.
  • 환기로 냉각 확보.
  • 정지 시 회전자 저항·위상 밸런스 점검.